연간 국가지원만 2조원에 달하는, 독일의 대표 연구기관 막스플랑크 연구소.
이공계부터 인문학까지 폭 넓은 분야의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연구성과 또한 세계 유수의 여타 연구기관에 비해 뒤지지 않는 훌륭한 연구소다.
그러나 이런 막스플랑크 역시, 그 많은 국가지원금이 필요한가에 대한
의문으로부터는 자유롭지 못하며, 그로 인해 억울한 비판을 받기도 한다.
아주 최근에도, 독일 정론지로 정평이 나있는,
슈피겔이 비판짙은 글을 내보내기도 했다.
과학이, 아니 모든 학문이, 그런 비판에 대응하는 가장 성숙한 모습은,
대중과 꾸준이 소통하는 모습이다.
자신만의 주장이 아닌, 일방적 정보전달이 아닌, 대화와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소통".
막스플랑크 역시, 과학이 미래의 인류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현재는 어떤 도움과 자극을 주고 있는지에 대해서
대중과 꾸준히 소통하려 노력한다.
중요한 점은, 그 설득의 바탕에는 반드시 "투명성"이 자리하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렇지 못하면, 그 어떤 설득도 그 당위성을 가지지 못한다.
투명성에는 연구의 투명성, 예산 사용의 투명성, 등 많은 항목이 들어갈 수 있다.
물론 막스플랑크라고 모든 게 다 투명하고, 공정하며, 100% 옳을 수는 없다.
사람이 하는 일이며, 더더군다나 큰 돈이 몰리는 일이기 때문에,
"돈"의 냄새에 취해 부정을 저지르려는 "사람"이 충분히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작동해야 하는 것이 바로 "제도"와 "규제"이다.
엇나가려 하는 순간에 바로잡아 줄 수 있는, 적법한 수준의 제어.
그러나, 과연 그런 수준의 투명성이, 과학자들만이,
과학계안에 있는 연구자들만이 합의한다고 해서 얻어질 수 있는 것일까?
아니다. 절대 아니다.
독일은 과학계 이전에, 아니 동시에, 사회 전반에 걸쳐
신뢰 사회라는, 투명성의 사회라는, 기반이 (최소한의 정도로는)
깔려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깔려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우리나라 얘기로 가보자.
아직까지 우리나라 천문학계는,
다른 선진국에 비하면 그 규모가 너무나 작다.
최근 나로호 발사와, GMT 참여로 그 규모를 늘려가고는 있지만,
여전히 갈 길은 요원해보인다.
다른 말로 하면, 우리나라 과학계는 아직도 무궁무진한 발전 가능성을 안고 있다.
그러나, 과연 현재 우리나라 사회에서,
몸집을 키우는 것이 진정한 과학계의 발전으로 이어질까?
절대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장담한다.
투명한 사회가 먼저 이루어지지 않으면,
결국은 과학계 역시, 내 곳간 먼저 채우기만 이루어지는,
이익다툼만 커질 것은 불 보듯 뻔한 일이다.
많은 재벌 대기업들이 특혜를 받으며,
전혀 투명하지 않은 경영을 하고, 탈세와 불법상속을 일삼는,
그런 기업들이 경제를 좌지우지하는 사회가 과연 투명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과연 이런 사회에서, 몸집이 커지고 (행복하게도 만일 그렇게 된다면) 돈이 몰리는
과학계가 과연 투명하고 공정하게 돌아갈 수 있을까.
아니. 절대로 불가능하다.
해방 후 60년간 한국의 정치/경제/언론을 장악해온
"그들"과 그들이 만들어낸 온갖 불공정과 평폐를
깨닫고 이해하지 않으면, 투명한 사회로의 발전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안타깝게도, 그것을 깨닫고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그들을 직시하는 방법뿐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그렇게도 사람들이 싫어하는 정치/역사에 관심을 가지는 방법 뿐이다.
과학하는 사람들아..
진심으로 대한민국 과학의 발전을 원한다면 정치에 관심을 가지자.
진심으로 대한민국 과학의 발전을 원한다면 정치에 관심을 가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