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8월 16일 금요일

Dropbox, Google Drive, Resilio Sync, Syncthing, etc. etc..


다루는 자료가 많고 컴퓨터가 여러 대이다보니
자료를 서로 싱크해야 할 일들이 많다.

여러저러 서비스들을 모두 사용해봤는데, 결론은 이렇다.
(설치법들은 인터넷에 워낙 잘 나와있으니 패스~)

1. 다른 사람과 공유할 일이 많고, 파일용량이 그다지 크지 않다면 무조건 Dropbox

2. 파일용량이 크고, Firewall을 통과해야하고, 다른 사람과 자주 공유하지 않는다면 Syncthing

--------------------------------------------------------------


먼저 Dropbox. 가장 편한 GUI 제공에, Windows, Mac, Linux 모두 지원한다.
속도도 빠르고 편하다. 단지.. 공짜로 제공하는 용량이 5G로 매우 작다.
만일 자금 여유가 된다면, 매달 일정금액을 내고 용량을 크게 해서 쓰면 된다.
그러면 솔직히 다른 서비스 쓸 필요가 없다.

결론: 돈 많으면 Dropbox 하나로 끝내자.

하지만 우린 돈이 없으니~


Dropbox 대안으로 여러가지가 있다.
그 중 제일 먼저 떠올릴 Google Drive.
얘네는 공짜용량도 15G이고,  더 추가한다 하더라도 Dropbox보다 싸고 용량옵션도 많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공식적으로는 Linux를 지원하지 않는다.. ㅠ.ㅠ...
(물론, 사용할 수 있는 비공식 프로그램들은 있다.)

어쨌거나 저쨌더나, 위 서비스들은 용량을 추가하려면 무조건 돈을 내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공짜를 좋아하기 때문에! ㅋㅋ

공짜면서 용량을 크게 가져가려면 (무한대로),
서버를 직접 구축하는 방법 외에는 사실상 별다른 방법이 없다.

자료 공유를 위해 공짜로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은 
꽤나 많은데, 난 일단 컴퓨터들이 방화벽 (Firewall) 안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우회할 수 있는 방법을 택해야 했다.
(네트웍 관리자가 아니라 포트를 열어줄 수도 없고.. 흑..)

그러다보니 centralized 된 방법들은 잘 안 먹히게 되고 (Seafile, nextCloud 등등), 
남은 대안은 P2P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방법들뿐이다.
그 중 대표적인 두가지가 Resilio Sync 와 Syncthing 이다.


먼저 Resilio Sync.

BitTorrent Sync가 이름을 바꾼 녀석이다. 일반적인 경우에 매우 잘 작동한다.
 Linux도 지원한다. 그런데.. 골치 아픈 폴더/파일 권한문제때문에
Linux 쪽 수정을 하려면 매번 권한을 바꿔줘야 하는 귀찮음이 있다..
아니면 group 설정과 user 설정을 해주는 방법도 있지만,
굳이 그렇게까지 해야하나.. 싶은 생각이 든다.
왜냐면 Syncthing은 안 그래도 되니까 ㅋㅋㅋ


그래서 대안으로 찾은 Syncthing
Windows, Mac, Linux 모두 지원하며 사용법도 매우 쉽다.
오픈소스로 개발되고 있고, 보안적인 측면에서도 Resilio Sync보다 낫다. 
Resilio Sync는 Key만 있으면
다른 컴퓨터의 공유폴더에 바로 접근이 가능하다 (즉, 승인 불필요).
Syncthing 은 반대로 승인이 꼭 필요하기 때문에,
혹시라도 Key가 의도치 않게 외부로 노출되더라도
다른 사람이 내 컴퓨터에 접근할 수가 없다.
(물론 Resilio Sync는 현재 누가 접속하고 있는지
알 수 있어서, 수동으로 접근못하도록 제거할 수는 있지만.. 수동이다 수동..)

결론: 돈도 없는데 Firewall이 귀찮게하면 Syncthing 써라.